Type of Credit: Elective
Credit(s)
Number of Students
수업내용:
이 수업에서는 한국정치, 정치경제, 사회문화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 사회를 관통하는 핵심 관념, 개념, 제도,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학습한다. 동시에 대학원 과정의 목표에 맞게 스스로 연구주제를 발굴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
1) 정치 분야에서는 현대 한국정치의 상징적, 관념적, 실질적 원천을 제공하고 있는 조선시대 정치와 현대 한국 정치를 분석한다. 특히 행위자와 사건뿐만 아니라 권력 구조 및 지정학적 구조를 포함한 이론적 틀 속에서 한국정치를 이해한다.
2) 정치 경제 분야에서는 발전국가 이론과 경제자유화에 초점을 맞추어 권위주의 정부 아래에서의 한국의 고도 성장기를 분석한다. 이 수업에서는 경제체제를 정부의 역할보다는 시장에서의 자유로운 여러 행위자들을 중심으로 보는 주류경제학적 관점과 경제체제를 자본가들의 노동자에 대한 착취 구조로 파악하는 공산주의 (맑시즘)의 관점이 아니라 정치경제학의 관점에서 한국의 경제를 분석한다. 정치경제학적 관점이란 경제체제와 경제행위에서 정부의 역할과 정치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정치와 경제의 상호 관계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관점을 말한다.
3)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현대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문화 현상인 페미니즘, 유교 공적문화, K-pop 을 이론적으로 연구한다.
►수강생들은 각 주차별로 배정된 연구논문을 읽고 발제하며 (1인당 약 2회), 자신의 연구주제를 정해 기말 페이퍼를 제출한다.
►강의자는 주차별 주제가 어떤 보편사적 맥락에 위치하는지, 어떤 지점에서 한국만의 특색을 가지는지 수강생들의 이해를 돕는 종합강의를 제공하며 수강생들의 발제와 토론에 비평을 제공한다.
能力項目說明
수업목표:
1) 한국 정치, 정치 경제, 사회문화 분야의 주요 이론적 틀을 이해한다.
2) 이러한 이론적 틀을 이해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핵심 토대를 파악한다.
3) 자신만의 연구주제를 발굴하고, 기존의 이론적 틀에 대한 비판 및 재구성을 통해 자신만의 관점을 확립한다.
教學週次Course Week | 彈性補充教學週次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Week | 彈性補充教學類別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Type |
---|---|---|
1 |
강의소개 |
주요 방법론 소개 |
|
2 |
조선의 정치 1 (한반도 질서의 재편) |
1) 왜 조선인가? 현대 한국의 원천으로서의 조선
2) 창업과 수성 |
강의, 발제, 토론 |
3 |
조선의 정치 2 (정치 체제 및 권력관계) |
1) 신권과 군권 / 왕도와 패도
2) 헌정주의와 덕치주의 |
강의, 발제, 토론 |
4 |
조선의 정치 3 (국제질서 및 대외인식)
|
1) 척화와 주화
2) 동아시아 국제전으로서의 임진왜란 3) 조공체제와 식민체제 |
강의, 발제, 토론 |
5 |
현대 한국정치 1 (냉전체제)
|
1) 분단체제의 형성
2) 냉전구조와 독재 체제
|
강의, 발제, 토론 |
6 |
현대 한국정치 2 (민족주의)
|
1) 민족주의와 근대화
2) 민족주의와 세계화 |
강의, 발제, 토론 |
7 |
현대 한국정치 3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1) 권력구조와 정치문화
2) 시민사회
|
강의, 발제, 토론 |
8 |
자율학습 |
연구주제 발표 및 토론 (1) |
|
9 |
중간고사 |
연구주제 선정 |
|
10 |
현대 한국정치 4 (제도와 권력 & 시민사회) |
1) 박근혜 탄핵
2) 윤석열 탄핵 |
강의, 발제, 토론 |
11 |
한국의 정치경제 1 (발전국가)
|
1) 발전국가론
2) 닉슨 독트린과 유신 & 중공업화 |
강의, 발제, 토론 |
12 |
한국의 정치경제 2 (경제자유화) |
1) 경제발전과 민주주의
2) 경제자유화와 서울의 봄 & 민주화 |
강의, 발제, 토론 |
13 |
한국의 정치경제 3 (신자유주의) |
1) 신자유주의와 미국의 금융패권
2) 1997년 경제위기와 경제개방 |
강의, 발제, 토론 |
14 |
휴강 |
개교기념일 |
|
15 |
한국의 사회문화 1 (유교공적문화) |
1) 사대부의 비판정신
2) 유교와 민주주의 |
강의, 발제, 토론 |
16 |
한국의 사회문화 2 (K-POP 의 정신사적 계보)
|
1) 화-이의 중층적 구조
2) 한국인의 욕망과 K-pop |
강의, 발제, 토론 |
17 |
자율학습 |
연구주제 발표 및 토론 (2) |
|
18 |
기말고사 |
연구 페이퍼 작성 |
|
평가방식:
출석 10% / 발제 40% / 중간고사(연구주제 선정) & 기말고사(연구페이퍼 작성) = 40% / 수업 참여 10%
교재 (추후 추가 및 변동예정)
참고문헌
1. 조선의 정치
<저서>
김영수 (2006). 건국의 정치. 이학사
최연식. (2015). 조선의 지식계보학. 옥당.
<논문>
도현철. (2003). 정도전의 사공학 수용과 정치사상. 한국사상사학, 21, 197-229.
함재학. (2008). 유교적 입헌주의와 한국의 헌정사. 헌법학연구, 14(3), 29-61.
김비환 (2014) 조선 초기 유교적 입헌주의의 제요소와 구조: 헌법요소의 화육신(化肉身)으로서의 군주와 권력구조의 상호작용
김명섭 and 김석원. (2013). 관념충돌로서의 전쟁: 임진왜란과 6·25전쟁의 관념적 기원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53(3), 103-146.
유불란. (2019). ‘제 나라에 대한 의리’의 정치적 함의 문제: 최명길의 주화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53(4), 31-47.
김명섭. (2024). 청일전쟁 이후 이승만의 탈중화적 변모와 독립사상. 21세기정치학회보, 34(2), 1-22.
이동수 (2014). <독립신문>과 공화민주주의.
2. 현대 한국 정치
<저서>
최장집 (2010).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조희연 (2010). 동원된 근대화. 후마니타스.
<논문>
김동춘 (2014). 한국전쟁, 분단이 한국정치에 미친 영향:구조화된 ‘예외상태’하의 자유, 민주, 복지
김현 and 송경호. (2023). ‘북한동포’는 누구인가? : 대통령 연설문(1948-2017)을 통해 본 시민적·종족적 북한동포관의 경합. 정치사상연구, 29(1), 82-114.
김남국 (2014). 다문화 시대의 시민
김용호 and 최연식. (2007). 대북정책에 있어 보수·진보논쟁에 대한 고찰: 대외위협 인식의 역사적 고찰을 통한 현재의 조명. 한국과 국제정치, 23(3), 163-190.
3. 정치경제
<저서>
이연호 (2009). 발전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연호 (2013). 불평등발전과 민주주의: 한국정치경제론. 박영사.
4. 사회문화
<저서>
오구라 기조. (2017).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모시는 사람들.
<논문>
김희강 (2014). 서구 페미니즘과 한국 페미니즘
이상익 (2014) 자유주의의 인권론(人權論)과 유교의 인륜론(人倫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