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Credit: Elective
Credit(s)
Number of Students
수업내용:
이 수업에서는 보편사적, 지정학적, 비교사적 관점에서 한국정치를 연구한다. 주요 수업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근대 이후 형성된 "보편적" 서구의 관점에서 한국 정치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한다. 특히 아래와 같은 관점에서 한국정치를 이해할 것이다.
- 민족주의, 반공/분단 이데올로기, 제도주의, 문화이론 (유교)
둘째, 한국이 처한 국제질서 속에서 한국 정치의 지정학적 성격을 파악한다. 특히 아래와 같은 세 시기 한국의 지정학적 성격을 파악하고 이것이 현대 한국 정치에 미친 영향을 파악한다.
- 중국의 명/청교체기 &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로의 전환기
- 18, 19세기말 중국 중심의 국제질서의 붕괴 시기
- 2차 대전 이후 미소/미중 패권경쟁 시기
셋째, 한국의 정치체제가 동아시아의 맥락 속에서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특히 제국의 주변부라는 위치, 일본에 의한 식민지 경험, 민주화 역사, 미국과의 관계에서 유사성을 가진 대만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정치를 이해한다.
能力項目說明
수업목표:
첫째, 일국사적 관점에서 특정한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한국정치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 보편사적, 지정학적, 비교사적 관점에서 보다 입체적인 관점에서 한국정치를 이해한다.
둘째, 행위자 및 사건 중심의 연구를 넘어 한국 사회 전체를 이해하고 분석할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셋째, 동아시아 질서 속에서 대만과의 비교적 관점에서 한국정치를 이해함으로써 두 국가의 정치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높인다.
教學週次Course Week | 彈性補充教學週次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Week | 彈性補充教學類別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Type |
---|---|---|
수업계획:
►주차별 자료 추후 제공될 예정
1주차 |
수업소개 |
1) 정치란 무엇인가? 주체, 주제, 행위, 권력관계 측면에서의 분석
2) 보편사적, 지정학적, 비교사적 관점의 중요성
3) 인식론적 방법론 소개 |
강의 및 토론 |
2주차 |
민족주의 |
1) 근대 민족주의 발흥과 역사: 민족주의와 근대 민주주의
2) 민족이란 무엇인가? 종족주의와 구성주의
3) 트럼프 현상과 유럽의 우경화: 민족주의와 포퓰리즘 |
강의 및 토론 |
3주차 |
한국의 민족주의 1 |
1) 동아시아 민족(주의) 원형: 서세동점과 민족담론
2) 민족주의와 근대화 |
강의 및 토론 |
4주차 |
한국의 민족주의 2 |
1) 민족주의와 현대 한국 민주주의
2) 대만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
강의 및 토론 |
5주차 |
반공주의 |
1) 자유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 민주주의 개념적 분화
2) 냉전체제로의 역사적 분화
3) 역사의 종말과 9.11테러 |
강의 및 토론 |
6주차 |
한국의 반공주의 |
1) 국시로서의 반공과 정치적 수사로서 반공: 이승만부터 윤석열까지
2) 미중패권 갈등 속 반공주의의 향방
3) 대만의 반공주의 |
강의 및 토론 |
7주차 |
휴강 |
공유일 |
|
8주차 |
자율학습 |
연구주제 발표 및 토론(1)
|
|
9주차 |
중간고사 |
연구주제 선정 |
|
10주차 |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 1 |
1)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속의 국제관계 및 조선의 세계관
2) 임오군란과 독립문: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붕괴
|
강의 및 토론 / 발표 |
11주차 |
한국의 지정학적 위치 2 |
1) 냉전 체제 속 한미관계 미중패권 갈등 속 한국의 세계관
2) TSMC 와 대만
|
강의 및 토론 / 발표 |
12주차 |
민주화 |
1) 경제발전과 민주화:
2) 독재와 민주화
3) 5.16과 서울의 봄, 그리고 5.18
|
강의 및 토론 / 발표 |
13주차 |
민주주의와 제도
|
1) 법치와 덕치, 제도와 정치적 삶의 관계
2) 프랑스 혁명과 미국 혁명의 '건국의 아버지들'
|
강의 및 토론 / 발표 |
14주차 |
민주주와 제도 & 한국 민주주의와 제도
|
1) 한국의 헌정질서의 발전: 조선시대부터 5공화국까지
2) 87년 민주화와 헌법
|
강의 및 토론 / 발표 |
15주차 |
한국 민주주의와 제도
|
1) 대통령제와 내각제, 양당제와 다당제
2) 제왕적 대통령제와 탄핵 (시민사회 주차와 연결) 3) 지역주의와 양당제 |
강의 및 토론 / 발표 |
16주차 |
한국 민주주의와 시민사회 |
1) 근대 시민사회의 탄생 2) 한국 시민사회의 성장 3) 유튜브와 탈진실의 시대 속 시민사회: 비상계엄과 탄핵 |
강의 및 토론 / 발표 |
17주차 |
자율학습
|
연구주제 발표 및 토론(2) |
|
18주차 |
기말고사 |
기말 에세이 작성 |
|
평가방식 :
출석 10%
중간고사: 연구주제 선정/주제 선정 후 발표 40%
기말고사: 연구주제 페이퍼 작성 40%
수업참여 10%
기본 참고서적:
신명순 (2022, 제 6판). 비교정치. 박영사.
진영재 (2021, 제 6판). 정치학 총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존 베일리스 외 (2022). 세계정치론. 을유문화사.
최장집 (2010).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조희연 (2010). 동원된 근대화. 후마니타스.
이연호 (2013). 불평등발전과 민주주의: 한국정치경제론. 박영사.
강정인 외 (2014). 현대 한국 정치사상. 아산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