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Credit: Elective
Credit(s)
Number of Students
이 교과는 15세기 한글의 탄생과 세종대왕, 그 후 한글 발전에 이바지한 역사적 인물들 과 사건을 중심으로 현대 한글에 이르기까지 한글의 역사를 학습하는 과목이다.
能力項目說明
이 교과를 통해 학습자들은 한글 탄생 이전과 이후의 한국인의 언어생활에 대해 이해하며, 한글 창제의 배경, 창제 원리 등 한글과 관련한 심도 깊은 탐구와 함께 한글을 보존하는 데 힘쓴 역사적 인물들을 연구한다.
教學週次Course Week | 彈性補充教學週次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Week | 彈性補充教學類別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Type |
---|---|---|
週次 Week |
課程主題 Topic |
課程內容與指定閱讀 Content and Reading Assignment |
教學活動與作業 Teaching Activities and Homework |
學習投入時間 Student workload expectation |
|
課堂講授 In-class Hours |
課程前後 Outside-of-class Hours |
||||
1 |
강의안내 세계의 언어-문자언어와 음성언어 |
3 |
|||
2 |
문맹: 글자를 모른다는 것 |
강의 + 발표 |
3 |
||
3 |
한글 이전의 문자생활 |
강의 + 발표 |
3 |
||
4 |
한글의 탄생1 - 세종대왕 |
강의 + 발표 |
3 |
||
5 |
한글의 탄생2 –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 |
강의 + 발표 |
3 |
||
6 |
한글창제 이후 조선사회의 한글 |
강의 + 발표 |
3 |
||
7 |
한글과 조선 독립운동 – 일제강점기 '조선어말살정책'과 조선어학회사건 |
강의 + 발표 |
과제 |
3 |
|
8 |
보충 및 중간고사 |
중간고사 |
평가 |
3 |
|
9 |
한글 자모음의 변천사 |
강의 + 발표 |
3 |
||
10 |
한글 발전에 힘쓴 사람들 1 – 주시경과 <한글>, 한글맞춤법 |
강의 + 발표 |
3 |
||
11 |
최초의 한국어사전 <말모이>와 영화 <말모이> |
강의 + 발표 |
3 |
||
12 |
한글 발전에 힘쓴 사람들 2 - 간송 전형필과 국보 70호 『훈민정음』 |
강의 + 발표 |
3 |
||
13 |
한글 발전에 힘쓴 사람들 3 -'한글점자 개발자' 송암 박두성 -'한글 타자기 개발자' 안과 의사 공병우 |
강의 + 발표 |
3 |
||
14 |
국립한글박물관과 한글가온길 한글날과 세종대왕문해상 |
강의 + 발표 |
3 |
||
15 |
세계 속의 한글과 한국어 -한류와 한글, 그리고 한국어 |
강의 + 발표 |
과제 |
3 |
|
16 |
한글의 역사 (종합) |
강의 |
3 |
||
17 |
기말 보고서 작성 및 개별 면담 |
기말 과제 및 개별 면담 |
면담 |
3 |
|
18 |
기말 보고서 작성 및 개별 면담 |
기말 과제 및 개별 면담 |
면담 |
3 |
출석 및 태도 10 %
기말 과제 30 %
중간 과제 30 %
개별 발표 30%
교수 자체 제작 자료
강신항(2003), 훈민정음 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국립한글박물관 기획, 언어학으로 풀어 본 문자의 세계, 역락(Henry Rogers, 2004, Writing Systems A linguistic Approach, Wiley Blackwell)
김주원(2013), 훈민정음-사진과 기록으로 읽는 한글의 역사, 서울대 인문 강의 시리즈 4, 민음사
박창원 외(2015), Hangeul The Korean Alphabet,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전국역사교사모임(2010), A Korean History for International Readers, 휴머니스트
한글박물관(2019), 한글의 큰 스승, 한글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