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Credit: Elective
Credit(s)
Number of Students
한국어학 이론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법 이론을 고찰한다. 그리고 대만의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본다.
能力項目說明
한국어 교육에 필수적인 한국어학 이론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 한국어 음성학,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한국어교육학 이론의 기초를 점검하고 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관련 논의들을 이해할 수 있다.
教學週次Course Week | 彈性補充教學週次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Week | 彈性補充教學類別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Type |
---|---|---|
每週課程進度與作業要求Course Schedule & Requirements |
||||||||||||||||||||||||||||||||||||||||||||||||||||||||||||||||||||||||||||||||||||||||||||||||||||||||||||||||||||
|
발표 40 %
자료 정리 30%
기말 보고 30%
한국어 교원을 위한 한국어학: 강현화 외 지음,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국어문법론 강의: 이익섭 채완 지음, 한국문화사
우리말 소리의 체계: 신지영 차재은 지음, 한국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