教學大綱 Syllabus

科目名稱:韓國社會與文化

Course Name: Korean Society and Culture

修別:選

Type of Credit: Elective

2.0

學分數

Credit(s)

30

預收人數

Number of Students

課程資料Course Details

課程簡介Course Description

본 수업은 한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이슈들 – 식민 경험, 근대화 과정, 민주주의, 민족주의, 세계화 그리고 여성과 가정 – 을 검토하고자 한다.
* 若取得韓檢四級以上之同學,可不受年級限制接受加簽選修。

 

核心能力分析圖 Core Competence Analysis Chart

能力項目說明


    課程目標與學習成效Course Objectives & Learning Outcomes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이론적 접근 뿐 아니라, 한국의 맥락에서 어떠한 함의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구체적인 사회의 영역 들과 문화적 실천들 간의 관계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每周課程進度與作業要求 Course Schedule & Requirements

    教學週次Course Week 彈性補充教學週次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Week 彈性補充教學類別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Type

    1주 (0219): 이스쿨 수업 소개 특강

    현지 강의(문화대), 정치대는 화상 강의(링크는 추후 배포 예정)

     

    2주 (0226): 녹화강의 (한류의 역사)

     

    3주(0304): 일본 식민지의 시작과 일상의 경험

    읽을거리:

    조형근 (2006). 한국의 식민지 근대성 연구의 흐름

    김진균, 정근식 (1997). 식민지체제와 근대적 규율.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김진균, 정근식 편저. 서울: 문화과학사, 13-29쪽.

     

    4주(0311): 한국 사회 민족주의의 형성

    읽을거리:

    최장집: 한국 민족주의의 특성.

    Younghan Cho (2009). Unfolding Sporting Nationalism in South Korean Media Representation of the 1968, 1984 and 2000 Olympics, Media, Culture & Society, 31(3): 347-364.

     

    5주(0318): 남북 분단 그리고 한국 반공 정서의 형성 (해외 대학 생각쪽지 1)

    읽을거리:

    김학준. 분단의 배경과 고정화 과정. 해방전후사의 인식 1권.

    백원담 (2017). 서장: 냉전적 학지로부터 전지구적 사상운동으로. 백원담, 강성현 (편). 열전 속 냉전, 냉전 속 열전: 냉전 아시아의 사상심리전. (27-56쪽) 과천: 진인진.

     

    6주(0325): 1960-80 한국경제 성장과 특징 

    읽을거리: 조희연. 동원된 근대화. 1장. 개발동원체제의 일반적 성격과 그 동학

     

    7주(0401):  정치적 민주화의 과정 (문화대 봄방학)

    읽을거리:

    최장집 (2002).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한국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위기. 서울: 후마니타스. (제 1장, 8장)

    이남희. 민중만들기.

     

    8주(0408): 가족과 여성  

    읽을거리:

    김예란-개발내셔널리즘과 중산층 가정

    장경섭. 한국인의 ‘가족피로’: 압축적 근대성과 탈가족화 추세

     

    9주(0415): 한국에서의 미국은 어떤 모습일까?  

    읽을거리:

    장세진 (2012) 상상된 아메리카: 1945년 8월 이후 한국의 네이션 서사는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서울: 푸른역사.

    김창남. 한국 대중문화의 정체성과 미국 문화

    10주(0422) 중간고사. (해외 대학 생각쪽지 2)

     

    11주(0429): 한국의 세계화 과정 그리고 1997 동아시아 경제 위기 

    읽을거리:

    윤상우_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신자유주의화

    Cho, Y. (2008). The National Crisis and De/Reconstructing Nationalism in South Korea during the IMF Intervention,  Inter-Asia Cultural Studies, 9(1): 82-95.

     

    12주(05/06) 어린이날 (휴일)

     

    13주(05/13): 한국 사회가 신자유주의화 되는 과정 (문화대 마지막수업)

    읽을거리:

    권수현 (2010). 신자유주의 경제 이론과 문화 논리. “친밀한 것: 신자유주의는 어떻게 일상이 되었나” 김현미 외. 서울, 이후: 15-46쪽.

    조영한 (2012). 한국사회에서 신자유주의 읽기: “국면적인 경제 읽기”를 제안하며, 「커뮤니케이션 이론」, 8(2): 22-64.

     

    14주(05/20): 한국의 인터넷 확산 대중적인 참여 문화 (해외 대학 생각쪽지 3, 정치대 校慶으로 인해 휴강)

    읽을거리:

    당대특집 (2009) 그대는 촛불을 끄셨나요

    Cho & Choi, (2017) Generating Counter-Public Spheres through Social Media: Two Social Movements in Neoliberalized South Korea. Javnost.

     

    15주(05/27): 한국  다문화주의와 세계 속의 다양한 한국인  

    읽을거리:

    김현미 (2014). 우리는 모두 집을 떠난다: 한국에서 이주자로 살아가기. 돌베개.

    김정선 (2011). 시민권 없는 복지정책으로서 ‘한국식’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경제와 사회, 92호. 205-246.

     

    16주(06/03): 다양한 혐오 정서의 출현 (이스쿨 마지막 수업)

    일상적인 인종주의: 여성 혐오 외국인에게 재현된 한국/인

    김지혜 (2019). 선량한 창비주의자. 서울: 창비

    김범선 조영한 (2020). 일상적 인종주의.

     

    17주(06/10): 한류의 역사 (해외 대학 단오절로 휴강)

     

    18주(06/17): 현지 강의 (추후 논의) 기말고사 숙제 제출

     

    授課方式Teaching Approach

    90%

    講述 Lecture

    0%

    討論 Discussion

    0%

    小組活動 Group activity

    0%

    數位學習 E-learning

    10%

    其他: Others:

    評量工具與策略、評分標準成效Evaluation Criteria

    출석 및 참여: 40%

     

    생각쪽지: 30%

    한 학기 3회 제출

    분량: A4 1쪽 이내

    수업 시간에 학습한 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는 것

    주요 내용: 수업 내용 중 관심 있는 부분을 정리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질문을 추가하여 작성할 것. 한국과 대만 사회를 비교하는 내용을 추가.

    제출 기간강의 스케줄에 명시

     

    기말 페이퍼: 30%

    매주 전달되는 읽을 거리 중 2개를 선택하여 에세이 작성

    분량: 읽을 거리 1개에 1쪽. 총 2쪽

    주요 내용: 읽을 거리의 주요 연구 결과 및 주장 요약하고 그 주장에 대한 자신의 의견 및 평가를 덧붙일 것. 읽을 거리에서 논의하는 현상에 대한 현재의 의미 및 대만 및 한국사회에 적용할 것이 있으면 추가하여 논의할 것.

    제출 기간기말고사 기간 (추후 조정 가능)

    指定/參考書目Textbook & References

    교재 & 참고문헌: 매주 읽을 거리 PDF 파일로 제공됨

    已申請之圖書館指定參考書目 圖書館指定參考書查詢 |相關處理要點

    維護智慧財產權,務必使用正版書籍。 Respect Copyright.

    課程相關連結Course Related Links

    
                

    課程附件Course Attachments

    課程進行中,使用智慧型手機、平板等隨身設備 To Use Smart Devices During the Class

    需經教師同意始得使用 Approval

    列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