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Credit: Elective
Credit(s)
Number of Students
이수업은한국문화사의연구관점과방법론을이해하고연구를수행하기위한기초역량을 갖고있는추는 Peter Burke(2004)에서제기된신문화사(New Cultural History) 관련기초이론을중점적으로학습하는것에서부터 본수업에서는 학문논문과조사자료를비롯해실제이미지와영상자료등다양한기록물을폭넓게탐독함으로써한국문화사연구영역내에서스스로주제를포착하고연구를설계하기학문적상상력을갖추게될것입니다.
能力項目說明
1. 문화사연구의관점과방법론을이해할수있다.
2. 문화사연구방법론에기초하여전개된다양한연구사례탐독을통해자신의연구주제와 관심영 역을확장할수있다.
3. 한국문화관련다양한주제영역의비판탐독을통해고급한국어문해력을강화할수있다.
教學週次Course Week | 彈性補充教學週次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Week | 彈性補充教學類別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Type |
---|---|---|
주 주 |
코스 주제 주제 |
코스 내용 및 할당된 독서 콘텐츠 및 읽기 과제 |
|
1 |
과정소개 |
과정소개 |
|
2 |
1 부. 문화사란무엇인가 |
문화사란무엇인가 |
|
삼 |
한국의문화사연구동향 |
||
4 |
2 부. 시간의문화사 |
시간분할의문화 |
|
5 |
공휴일 |
||
6 |
시간의압축과공간의축소 |
||
7 |
3 부. 공간의문화사 |
공간인식의 변화 |
|
8 |
공간활용방식의 변화 |
||
9 |
기본고사 |
프로젝트주제요약문제출 |
|
10 |
4 부. 즐거움과 소비의 문화사 |
취향과 선택, 소비 문화 |
|
11 |
소비자를 둘러싼 인식의 변화 |
||
12 |
5 부. 미디어와대중의문화사 |
새로운미디어의도입과발전 |
|
13 |
대중문화의 발전 |
||
14 |
6 부. 국가이미지의 문화사 |
한국의 국가홍보이미지의 변화 |
|
15 |
한국에대한외부의 시선변화 |
||
16 |
기말고사 |
프로젝트 계획발표 및 토론 |
|
17 |
프로젝트 |
프로젝트 진행 |
|
18 |
프로젝트 |
프로젝트 진행 |
초고사/기말고사30%,특50%, 10%, 참여10%
* 기본고사: 프로젝트주제요약문제출(A4 1~2쪽)
기말고사: 프로젝트중간발표및발표자료제출(ppt)
추천: 1) 프로젝트과제수행(기말고사피드백이후발전된결과물제출)
2) 기타요구되는과제수행
* 기본고사, 기말 고사, 프로젝트는 모두각자가정한하나의주제로진행한다 .
( 강좌 관련 링크 )
▪ 참고문헌
피터버크(2005). 조한욱 옮김, 문화사란무엇인가. 서울: 길.
(Peter Burke(2004). 문화사란 무엇인가? Oxford: Polity.)
모이세이카간(2020).이혜승옮김, 원서발뭉문화철학.
조한욱(2000). 문화로 보면역사가달라진다. 서울: 북세상.
클리퍼드기어츠(2009).문옥표옮김.
書名 Book Title | 作者 Author | 出版年 Publish Year | 出版者 Publisher | ISBN | 館藏來源* | 備註 Not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