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of Credit: Elective
Credit(s)
Number of Students
-외국인 및 한국어 비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이 무엇인지를 안다. 이를 위하여 외국어 습득, 한국어 발음 교육, 어휘 교육, 문법 교육 등 기본적인 한국어 교수 방법을 익힌다. 해당 주차의 강의를 듣고 해당 주제의 내용을 정리.요약하여 학습한 내용을 심화시켜 나간다.
能力項目說明
한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습자에게 한국어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내용이 무엇인지를 안다.한국어 교육학은 크게 한국어학, 한국어 교육학, 한국학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한국어 교육의 내용학 및 기능 교육학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한국어 교육의 내용학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의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공부하고, 한국어 교육 기능 교육학에서는 한국어 교수법, 기능별 교수법, 평가 등을 개관한다. 이를 통하여 심도있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을 학습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教學週次Course Week | 彈性補充教學週次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Week | 彈性補充教學類別Flexible Supplemental Instruction Type |
---|---|---|
此乃韓國外國語大學的遠距教學課程,全程由韓國教授講述課程,並配合韓國16週的規定,沒有16+2
주차(Week) |
내용(Contents) |
1st(9/11) |
강의 소개(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무엇인가) |
2nd(9/18) |
모국어 습득과 외국어 습득 |
3rd(9/25) |
한국어 발음 교수법1(한글 창제와 발음) |
4th(10/2) |
한국어 발음 교수법(한국어 음운과 음운 변화 교육) |
5th(10/9) |
쌍십절 |
6th(10/16) |
한국어 어휘 교수법 |
7th(10/23) |
한국어 문법 교수법1(문법 교육의 교수 방법) |
8th(10/30) |
한국어 문법 교수법2(문법 교육의 내용) |
9th(11/6) |
중간고사 |
10th(11/13) |
한국어 교수법 |
11th(11/20) |
한국어 표현 교육 1(한국어 말하기 교수법) |
12th(11/27) |
한국어 표현 교육 2(한국어 쓰기 교수법) |
13th(12/4) |
한국어 이해 교육 1(한국어 듣기 교수법) |
14th(12/11) |
한국어 이해 교육 2(한국어 읽기 교수법) |
15th(12/18) |
한국어 평가론 |
16th(12/25) |
기말고사 |
(1)중간시험(Midterm Exam): 40%
(2)기말시험(Final Exam): 40%
(3)출석(Attendance): 20%
教材: 자체 강의안,김재욱 외(201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박이정.
參考文獻
민병곤,김호정,구본관(2020), 한국어교육학개론. 태학사.
이해영,방성원 외(2020). 손에 잡히는 한국어 교육학 개론. 하우.
박기덕 외(2003).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 문법론. 한국문화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편(2005). 한국어교육론1,2,3. 한국문화사.
김재욱 외(2005). 언어교수이론과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
김재욱 외(2019). 한국어 문법과 표현. 집문당.
박영순 편(2003).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국립국어원 편(2005). 한국어문법1,2. 커뮤니케이션북스.
Brown, H. Douglas(1994). Teaching by Principles. Prentice HAll.
Brown, H. Douglas(1994).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entice HAll.
Nunan, David(1999). Secong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Heinle &Heinle Publishers
書名 Book Title | 作者 Author | 出版年 Publish Year | 出版者 Publisher | ISBN | 館藏來源* | 備註 Note |
---|